참여교수

SNU BIOMEDICAL SCIENCE PROGRAM

연구

연구분야
본 연구실에선 인간의 정상적인 발생 및 질병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체의 구조적 변화와 후성유전적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합니다. 저희는 첨단 멀티오믹스 기술과 생물정보학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실험 방법과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직접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전체의 3차원 구조 및 후성유전적 변화가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원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일세포 및 공간 오믹스(spatial omics) 실험 기술을 통해 조직 내 개별 세포들이 어떻게 유전체 구조를 형성하고 후성유전적 변화를 일으켜 정밀한 유전자 발현 조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지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질병의 분자적 원리를 이해하고, 질병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실은 유전체학, 후성유전체학, 그리고 컴퓨터 과학을 융합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기초 연구에서 임상적 활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Pure Link
전공분야 핵심단어
Epigenomics, Genomics, Single Cell Omics, Bioinformatics

학력

  • 2010 학사,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2015 박사,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생화학)

주요 경력

  • 2016.05-2020.08 박사후연구원,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 2020.09-2024.08 조교수, 부교수,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 2024.09-현재 부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및 생화학교실

주요 논문

  1. Temporally distinct 3D multi-omic dynamics in the developing human brain. Nature (2024) 624:125-134
  2. Foxp3 orchestrates reorganization of chromatin architecture to establish regulatory T cell identity. Nat Commun (2023) 14:7277
  3. Structural variants drive context-dependent oncogene activation in cancer. Nature (2022) 612:564-572
  4. Simultaneous profiling of 3D genome structure and DNA methylation in single human cells. Nat Methods (2019) 16:999-1006
  5. An epigenomic roadmap to induced pluripotency reveals DNA methylation as a reprogramming modulator. Nat Commun (2014) 5:5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