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교수

SNU BIOMEDICAL SCIENCE PROGRAM

연구

연구분야
우리 연구실에서는 플렉서블 유기전자 소자를 활용하여 바이오메디컬 응용에 사용되는 디바이스 개발을 주로 하고있습니다. 현재는, "생체내 삽입 가능한 바이오화학센싱 플랫폼"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 플랫폼 개발에는, 전기전자, 기계, 재료, 의공학 등 다양한 전문분야의 연구자들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전공과 상관없이, 메디컬에 응용 가능한 유연소자 연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저희 연구팀에 합류 할 수 있습니다.

- 생체디바이스에 활용한 생체재료 개발 (기판, 소자, 봉지막 등)
- 생체디바이스 소자 단위 센서 개발 (후각센서, 마약센서, 생화학센서 등)
- 생체디바이스의 시스템 개발 (무선 정보 송수신 시스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자가발전형 시스템)
- 생체디바이스의 In-vivo 실험 응용 (당뇨병, 파킨슨병, 우울증, 심부전 모델에 대한 디바이스 적용)
Pure Link
전공분야 핵심단어
Organic Electronics, Biomedical Device, Biochemical Sensor, Medical Device Platform

학력

  • 2013 학사, Nagoya University (물리공학)
  • 2015 석사, The University of Tokyo (전기전자공학)
  • 2018, 박사 The University of Tokyo (전기전자공학)

주요 경력

  • 2018.4.~2020.1 한국과학기술원 연수연구원
  • 2020.1~2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촉연구원
  • 2020.6~2025.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2025.9~Present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 부교수
  • 2025.9~present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대학원 부교수

주요 논문

  1. “An Ultrathin Organic–Inorganic Integrated Circuit for Wireless Optical Biomarker Monitoring” Nature Electronics (2024).
  2. “A Skin-integrated Conformable Microneedle Sens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n Inhalational Anesthesia” Device (2023).
  3. “Conformable Microneedle pH Sensors via the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Siloxane Polymers for Mapping Peripheral Artery Disease” Science Advances (2021).
  4. “Self-Powered Ultra-Flexible Electronics via Nano-Grating-Patterned Organic Photovoltaics” Nature (2018).
  5. "Nonthrombogenic, stretchable, active multielectrode array for electroanatomical mapping" Science Advance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