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단소식]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 지원 사업 선정자, 최재용 박사(현 BK21 박사후연구원)2023-12-15 l 조회수 1268[특별인터뷰]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 지원 사업 선정자 2인을 만나다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단은 의사과학자 양성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과학자를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22년에 출범했습니다.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 지원 사업은 의사과학자에 대한 전주기적 지원의 일환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의 의사면허 소지자를 지원합니다. 현재 진보영, 진선필, 최규성, 신정환, 전영글 박사, 5명의 선정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많은 관심 속에 올해 11월 2명(이상연, 최재용 박사)을 추가로 선발하게 되었습니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연구동향] Tracking antigen-specific TCR clonotypes in SARS-CoV-2 infection reveals distinct severity trajector...2023-12-15 l 조회수 461Tracking antigen-specific TCR clonotypes in SARS-CoV-2 infection reveals distinct severity trajectories Journal of Medical Virology 김항래 교수 (의과학과,교신저자) 신현무 교수 (의과학과,교신저자) 김익수 교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제1저자) 강창경 교수 (서울대학교병원,제1저자) 이승재 연구원 (디앤에이링크,제1저자) 이창한 교수 (의과학과,제1저자) COVID-19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초기 면역반응 중 특히 항원 특이적 T 및 B 세...[졸업생기고] 2023.8월 의과학과 박사 졸업생-김이숙(서울대학교 감각기관연구소 연수연구원)2023-12-04 l 조회수 1058Q. 간단한 본인소개와 연구분야 또는 직장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2017년 의과학과에 입학하여 신현우 교수님 지도 아래 지난 8월에 박사 졸업을 하였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에서 연수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감각기관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학위과정동안 저를 지도해주셨던 분이자 감각기관연구소의 소장이신 신현우 교수님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Q. 연구분야/직장을 선택한 이유가 있다면? A. 제가 포스닥으로 근무하기를 선택한 이유는 제 자식 같은 프로젝트에 대한 애착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언론소식] 묵인희 교수, 여성창조상 수상2023-11-23 l 조회수 360‘삼성행복대상’ 묵인희 교수 등 8명 중앙일보 입력 2023.11.21 00:01 ‘삼성행복대상’ 묵인희 교수 등 8명 삼성생명공익재단은 20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강당에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진과 시대에 맞는 가족문화 구축에 힘쓰는 이들을 찾아 격려하는 ‘2023 삼성행복대상’ 시상식(사진)을 열었다. 수상자는 조한혜정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여성선도상),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여성창조상), 박영주 세종예술고 음악교사(가족화목상) 등이다. 김선애(15·...[언론소식] 이창한,김항래,신현무 교수팀, 코로나19 중증 환자 면역학적 특징 발견2023-11-20 l 조회수 1073국내 연구진,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면역학적 특징 밝혔다 서울대·디엔에이링크 공동연구진 증상별 코로나19 환자 T세포 분석 이정아 기자 입력 2023.11.16 13:58 이창한·김항래·신현무 서울대 의과학과 교수, 이승재 디엔에이링크 연구원, 김익수 가천대 의예과 교수, 강창경 서울대병원 교수 등 공동 연구진이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 T세포 과잉 반응과 미발달 T세포 증가, 세포독성 T세포의 작용 증가 등 현저한 차이를 확인했다./서울대 서울대는 이창한·...[연구동향] Versatile roles of innate lymphoid cells at the mucosal barrier: from homeostasis to pathological in...2023-11-15 l 조회수 982Versatile roles of innate lymphoid cells at the mucosal barrier: from homeostasis to pathological inflammation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김혜영 교수 (의과학과,교신저자) 류승원 교수 (가천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공동제1저자) 임민영 학생 (의과학과,공동 제1저자) 인체는 지속적으로 병원체와 외부 유해자극에 노출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점막조직은 중요한 방어기전을 제공한다. 즉, 점막 면역 시스템은 단순히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언론소식] 권용태 교수, 2023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 수상2023-11-15 l 조회수 598권용태 교수, 2023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 수상 권용태 교수(의과학과) 권용태 교수(의과학과)가 2023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연구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학술연구교육상은 탁월한 연구업적으로 학문발전에 기여하고 서울대학교의 명예를 높인 교수에 주는 상이다. 권용태 교수는 지난30여 년간 한 가지 주제 즉 ‘분해’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였으며, 150여 편의 논문을 통해 N-데그론 분해경로를 정립하였다. 이후 N-데그론 원리가 개별 단백질뿐만 아니라 단백질 응고체, 소포체, 페록시좀, 미토콘드리아, 지방방울,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패혈...[언론소식] 묵인희 교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지원 연구성과 2건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2023-11-14 l 조회수 414서울대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지원 연구성과 2건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기자명 박소현 기자 입력 2023.11.10 18:36 [베리타스알파=박소현 기자] 서울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 주관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지원 연구성과 2건이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은 범부처적으로 우수한 국가연구개발 성과를 선정하는 제도로 올해로 18년 차를 맞이했다. 올해는 각 부/처/청이 선별/추천한 총 854건의 후보 성과 중 산/학/연 전문가 10...[언론소식] 전양숙 교수 연구팀, 지방산 과섭취에 의한 간암 악성화 기전 규명2023-10-19 l 조회수 332서울대 연구팀 지방산 과섭취에 의한 간암 악성화 기전 규명 [베리타스알파=박원석 기자] 서울대는 전양숙 교수 연구팀이 지방산 과섭취에 의한 간암 악성화 기전을 밝혔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진은 간암의 백서 모델과 암 미세환경을 구현한 3차원 배양 칩을 이용하여, 팔미트산이 간암 세포 증식과 지방 대사를 변환시켜 암을 악성화시킨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그 분자 기전으로 팔미트산이 암 억제 단백질인 PHF2를 팔미토일화시켜 단백질 파괴를 유도함을 관찰했다. 나아가 PHF2가 지방 합성을 조절하는 핵심 전사인자인 SREBP1c의 유비퀴틴화 효소로 작용하여 간암 증식을...[언론소식] 전양숙 교수 공동연구팀, 간암 악성화 초래 원인 밝혔다.2023-10-17 l 조회수 528서울대 전양숙 교수 공동연구팀, 간암 악성화 초래 원인 밝혔다. 팔미트산, 간암 악순환 고리의 방아쇠 전양숙 교수.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서울대 의대 전양숙 교수 공동연구팀이 팔미트산이 간암 악성화를 초래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정도원 (서울대학교/제1저자), 박종완 교수 (서울대학교/공저자), 김경석 (서울대학교/공저자), 김지영 박사 (서울대학교/공저자), 허준 교수 (고려대학교/공저자), 서지은 박사 (서울대학교, 현 요코하마국립대학교/공저자), 김예리 (서울대학교/공저자), 조주연 교수 (서울대학교/공저자),...